SCM 바로 알기 (3부 SCM 솔루션 이해) > 컨설턴트 칼럼

본문 바로가기


컨설턴트 칼럼

Home News & Column 컨설턴트 칼럼

페이지 정보

SCM 바로 알기 (3부 SCM 솔루션 이해) 등록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59.♡.249.250) 작성일18-12-18 12:00
글내용
제목 SCM 바로 알기 (3부 SCM 솔루션 이해)
SCM 바로 알기 (3부 SCM 솔루션 이해)

이번 회에는 ‘1부: SCM 개요’에서 간략하게 소개되었던 SCM IT 솔루션들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하도록 하겠다. ‘AMR Research’에서 조사한 글로벌 SCM 시장은 2012년에 92억 달러로 예상되고 있으며 솔루션을 제공하는 SCM 솔루션 벤더들은 SAP, Oracle, JDA, Manhattan Associates, Red Prairie 순으로 매출액 Top5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SCM 시장은 2009년 1천 3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을 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IT 기술과 접목된 SCM 솔루션들은 SCM 전반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적인 업무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물류 선두 기업을 중심으로 SCM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에 대한 관심과 도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SCM 솔루션 영역은 아래 그림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크게 전략(Supply Chain Strategy), 계획(Supply Chain Planning), 실행(Supply Chain Execution), 모니터링(Supply Chain Monitoring) 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별로 다양한 솔루션들을 가지고 있다. 각 영역의 솔루션들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전략: SC Strategy

전략(Supply Chain Strategy) 영역은 SCM의 최상위 레벨로 각 기업들이 전사적으로 중장기적인 물류 최적화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이를 지원하는 SCM IT 솔루션으로 ’공급망 설계 최적화(Supply Chain Network Optimization)’가 있다. 이 솔루션은 기업이 위치, 공장 수, 센터 수와 같은 공급망 인프라들을 효율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제품이 어떤 로케이션에서 얼마만큼의 수량으로 제조되고 보관해야 하는지를 평가하고 확인해 볼 수 있다. 기업은 해당 솔루션을 통해 물류 네트워크의 소싱, 생산, 능력, 자재, 분배 등 다양한 비용과 제약을 고려하여 주어진 고객 서비스 수준을 충족하는 최소 비용 혹은 최대 이익을 산출하기 위한 물류 네트워크의 최적화 구성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Global SCM 확산, 복잡화되는 공급망, 유가 상승 같은 최근의 물류 경향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공급망 전 영역의 물류 최적화된 전략을 수립하는 Network Optimization Tool이 기업 SCM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솔루션을 구축한 회사들은 공급망 비용 절감, 매출과 수익 극대화, 자원 활용 효율 향상 같은 ROI를 얻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전 세계 영업 Channel 및 복잡한 자동차 산업의 Supply Chain을 보유하고 있는 연 매출 600억 달러인 대표적인 자동차 회사인 BMW와 같은 경우, SC Network Optimization을 통해 최적화된 Sourcing 전략을 구현해서 신제품에 대해 10% 이상의 수익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특정 부품 조달에 대한 아웃 소싱과 자체 제조의 의사결정시 활용하였고 환율 변동에 따른 최적화된 공급 sourcing 전략을 수립하여 리스크 관리가 가능해졌다. 미국의 Food 제조업체인 Pillsbury은 Pet Foods와 합병에 따른 새롭게 최적화된 물류 네트워크 전략 수립을 위해 시스템을 도입했고 ‘SC Network Optimization’을 통해 최적의 물류센터 수와 적정 Capacity를 결정해서 23개의 물류센터를 9개로 축소하여 운송비와 관리비가 현격히 감소했지만 고객 서비스 기준은 기존 서비스 레벨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었다.

2. 계획: SCP(Supply Chain Planning)

SCP는 경영전략, 연간예산, 자재조달, 수요예측, 재고계획, 생산계획 등을 주별 계획 이상의 계획(Plan)을 수립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계획의 수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생산 계획(Master Planning; MP), 수요 계획(Demand Planning;DP), 재고 보충 계획(Replenishment Planning), 판매 계획(Sales & Operation Planning ; S&OP), 비용 계획(Revenue Optimization), 협력적 예측 보충 시스템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 CPFR) 및 공급사 재고관리 (Vender Managed Inventory ; VMI) 등이 있다.

(1) MP/DP/RP/S&OP
먼저 APS (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라고 알려진 생산(MP), 재고보충(RP), 수요(DP)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살펴 보자. 기업은 수요 계획(DP) 시스템을 통해 고객 접점에 있는 영업사원이나 판매 시점으로부터 수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즉, 공급망 주체간 통합된 협업 기반의 수요 예측 정보를 기반해 판촉 행사나 1+1 같은 프로모션 정보를 예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실 수요예측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DP 를 통해 산출된 수요 예측 정보는 보통 재고보충(RP) 관리 시스템의 Input data가 된다. RP는 DP에서 나온 수요예측 정보를 기준으로 각 물류거점별 재고보충 여부 및 수량 및 단위를 산정해 준다.
최근의 RP 의 경향은 물류 거점별이 아닌 전사의 공급망 전체 단계(Multi-echelon)에서의 통합적인 재고 변동 상황을 고려해서 최적의 재고할당계획 (수송/가용재고)을 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의 RP와는 상관없이 생산계획 (MP)을 수립하고 실행했었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진화되어 최근의 MP는 RP와 동기화 되어 수행된다. 기업은 MP를 통해 RP기반의 Pull 방식(수요가 생산을 창출하는 방식)의 생산계획을 수립하지만 제약사항을 반영해서 RP에 피드백해서 생산제약사항이 재고보충 계획에 반영되게 할 수 있다.
즉, APS를 통해 동기화된 수요/재고보충/생산/구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MP/RP/DP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회의 이상의 IT 인프라 기반의 협업적인 생산 및 판매 계획(Sales & Operation Planning ; S&OP)이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국내 기업은 S&OP 프로세스를 위해 엑셀을 이용함으로써 S&OP 인프라 구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재고감축, 재고 회전율 증대, 고객서비스 증대 같은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외에서 S&OP를 구현한 글로벌 최대 식품 가공회사인 Heinz 같은 경우는 구현 후 주 단위 수요예측 및 정확도가 15-20% 향상되고 Planner 인력 감축과 일 단위 재고보충기반 확립이라는 ROI을 획득했다.

(2) DRM
DRM은 Demand & Revenue Management의 약자로 수요와 매출의 동시 최적화를 목표로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SCM 전략이 재고나 운송비 절감 같은 비용 절감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면 DRM은 매출증대에 보다 초점을 둔 수요관리이다. 즉, 가격이나 판촉 정보 등 판매량에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시장정보를 수요 예측에 반영시켜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판촉과 가격을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화시켜 보다 많은 고객이 우리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수요창출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DRM은 과거 판매정보 (혹은 주문 정보)와 상품 원가정보, 현재고 수량, 고객정보 등이 필요하다.
그 외에 경쟁사 정보 등 다양한 변수를 제약사항으로 추가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수요 모델과 Price 엔진이 작동하면 해당 산출물로서 시장정보가 반영된 수요 예측치 및 상품별 최적가격과 판촉 정책, 기대수익 같은 정보가 산출된다. 영국의 5대 슈퍼마켓 체인 중에 하나인 소머필드 (Somerfield)는 수요 예측 정확도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기존의 예측 시스템에 DRM 솔루션의 일부인 Promotion Optimization을 구축하여 담당자가 프로모션 결과를 예측하는 시간을 대폭 감축했으며 점별/상품별 최적의 프로모션을 채택해서 매출증대를 가져왔다.

(3) CPFR/VMI
최근 물류 선두 기업들을 기점으로 공급망 전반의 이해 관계자와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결정을 지원받는 협업(Cross-Enterprise Collaboration) 구현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은 공급망 상의 여러 기업들/구성원들이 함께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생산을 계획하며 재고를 보충해 나가면서 supply chain에서 발생할 수 있는 bullwhip effect나 예기치 못한 event를 최소화하는 SCM 솔루션이다. 즉 판매/재고데이터를 이용해 소비자 수요 예측과 주문관리에 이용하고, 제조업체와 공동으로 생산계획에 반영하는 등 제조와 유통업체가 예측, 계획, 상품보충을 협업하여 운영하도록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다.
공급망 관리에 있어서 생산 및 판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자재조달에 있어서도 자재 구매처의 글로벌화에 따라 조달 물류비용의 증가와 납기 불안정이 예상되고 이는 경기침체에 더욱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와 공급 차질을 가속화 시켜 결국 판매 기회 손실과 이익 감소를 초래하므로 공급처의 현지화, 납품 공동물류화, 공급경로의 재구성, VMI (Vendor Managed Inventory)을 이용한 공급협업화 전략도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방안이다.
VMI는 공급자가 직접 판매자의 매장 재고 또는 물류센터 재고를 관리하는 전략을 말하며 고객수요에 대한 유연한 대응과 재고투자비용의 절감을 위해 사용 되어진다.
국내 L전자는 지난해부터 상호공급기획 예측프로그램(CPFR)을 구축, 협력사와 주문•생산계획을 실시간 협의할 수 있도록 해 연 100억 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고, 창고를 거치지 않고 공장에서 바로 제품을 배송하는 직출하율을 지난해 75%에서 96%로 높였다.

3. 실행: SCE(Supply Chain Execution)

SCE는 창고•보관 업무, 수•배송 관리 등 주로 현장 물류의 업무를 일별 이하의 계획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운송 관리 시스템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TMS), 창고 관리 시스템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 야드 관리 시스템 (Yard Management System; YMS) 같은 실행 시스템과 바코드, RF 등을 사용해서 물류 실행 업무를 효율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WMS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는 물류센터에 작업을 해야 할 각종 예정정보 (ASN: Advanced Shipping Notice)를 바탕으로 창고 안의 입고부터 출하까지의 모든 개별단위작업을 컨트롤하고, 재고 및 관련정보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WMS는 통상적으로 기본기능과 확장기능으로 나누어지는데 기본기능이란 물류센터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일반적인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업무모듈이 이에 해당된다. 확장기능은 통상 필수적인 요구기능은 아니지만, 물류센터의 운영패턴이나 물리적인 속성, 혹은 생산성을 고도화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모듈화를 통해 기본기능과 조립되어 운영되는 기능 (WOS, FRID, Voice Picking)을 지칭한다.
WMS를 통해 입고예정정보 (ASN)를 통해 정보의 공유로 물류센터 내의 재고보관 Capacity, 예상물량을 고려하여 제약조건하에서 작업자를 배치시키고, 입고부터 출하까지의 각 단계별 작업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결과값을 KPI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세스의 측면에서 매뉴얼 작업 및 비표준 작업을 표준화하고 시스템 가이드에 의한 작업지시를 통해 물류창고의 작업자들의 피로도 및 관리자의 작업부하를 경감해 줌에 따라 솔루션 도입 이후 적지 않은 기업들이 다양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SCM 솔루션 중에서 가장 빠르게 국내 시장에 도입되었으며 전 세계 96%, 국내 대부분의 물류기업이 WMS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WMS을 보유하고 있는 많은 업체들이 솔루션 확장 및 업그레이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WMS의 경우 기존의 C/S 기반의 노후된 시스템을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와 웹 기반 시스템으로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점점 글로벌화 되어가는 SCM에 대응하기 위한 전사 시스템 구축의 시도와 요구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2) TMS
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는 흔히 운송관리시스템이라 불린다. 운송은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물품을 전달하여 고객 만족을 충족시키는 고객과의 접점에 위치한 고객서비스 향상의 핵심 행위이다.
TMS 솔루션은 Daily Operation Level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 실행, 모니터링의 3가지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먼저 계획기능은 출하 물량에 따라 적재조건, 운송 노선, 최적 운송사, 납기일 등을 고려하여 통합 수•배송 계획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TMS를 통해 기업들은 제한된 자원과 제약사항 내에서 수•배송 노선 최적화, 물품 적재 계획 최적화, 운송요율/이동거리 최적화된 운송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실행기능이다. 이 기능은 화주 및 운송사의 운송 관련 Transaction을 관리하며, 운송업무의 Life-cycle 최적화, 배차 및 관리기능을 지원하는 부분으로 배차 관리, 운송사 확정 및 운송비 정산, 감사 기능과 실적 및 보고서 관리 부분을 포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모니터링 기능으로 계획 대비 실행 정보의 현황을 트랙킹하고 예외상황에 대한 사전 대처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TMS를 도입하면 기업들은 다량의 주문을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운송 계획을 자동 수립해 고객에 대한 Delivery time을 단축하고 결국 고객 물류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고객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최적배차 계획으로 운송비가 절감되고 시스템을 통한 정산/마감 업무로 운송비에 대한 투명성 확보 및 운송 실행에 대한 가시성 확보가 가능해 진다.

(3) YMS
YMS (Yard Management System)는 야드(Yard) 내에서 차량, 도크, 컨테이너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최근 대형 물류센터를 짓거나, 각 권역별로 나뉘어졌던 센터를 통합하면서 물류센터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차량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과거의 매뉴얼이나 수작업 방식의 차량 입출하, 도크, 야드 관리는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WMS와 TMS에 많은 투자를 했지만 Yard 관리 부실로 물류흐름에 병목이나 단절 구간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시스템이 바로 YMS이다. 야드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자는 물류센터 내 차량•원자재•컨테이너 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WMS와 TMS 간의 단절 없는 물류환경을 조성해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물류의 전반적인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YMS의 세부 기능을 살펴 보면 보통 ‘Gate Management(GM)’ 즉 물류센터 Gate를 기준으로 실시간 차량 입출문 관리 및 검수 및 Gate In/Out 차량 및 컨테이너의 booking 및 실적관리 기능이 있다. ‘Dock Management(DM)’ 기능은 센터 도크의 스케줄 관리, Dock 할당/대기/Loading/Unloading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Container Yard Management(CYM)’ 기능을 이용해 실시간 컨테이너 로케이션 관리, 컨테이너 피킹 및 적치, 출고관리도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유통업체 L사의 신규 물류센터에서 물류센터에 차량이 들어오면 도크까지 안내하는 RFID와 결합한 YMS가 구축되어 있고 S전자 러시아 법인 물류센터에서 Dock 관리와 컨테이너 관리 기능을 위해 YMS가 구축된 사례가 있다.

4. 모니터링: Supply Chain Monitoring

최근에 SCM 영역 중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영역은 모니터링 기능인 가시성 (Visibility)이다. AMR Research는 Visibility는 ‘계획 (Plan)되고 실행 (Execute)되는 실물 흐름에 대한 정보가, 통제 (Control)를 담당하는 의사결정자에게 얼마나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보여지는가 (Monitor)하는 과정과 시스템을 총칭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어원을 가진 Visibility가 많은 기업들의 최대 관심사가 된 배경에는 점점 더 불확실해지는 내/외부 환경에서 가시성 (Visibility) 구축을 통해 공급망의 민첩성 (Agility)을 확보해서 다이나믹하게 변동하는 시장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거기에 구매, 생산, 판매에 이르는 비즈니스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공급망에서의 다양한 물자의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상황을 사전에 파악해야 하는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Visibility솔루션은 공급망의 제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비용, 성과 및 서비스 측면에서 현재의 운영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개선을 위한 피드백과 사전 예방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회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솔루션을 통해 기업들은 비용절감 및 고객 서비스 증대 기회를 찾아내고,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으며, 외부 관계사와도 협업체제 구축 기반을 다짐으로써 국내 혹은 글로벌 전체 공급망 운영을 최적화 할 수 있다. 효율적인 Visibility를 구현하는 단계는 첫째, 다양한 이기종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수집된 데이터를 운영 프로세스 기준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이벤트를 정의해서 발생하는 예외사항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는 SCEM (Supply Chain Event Management) 적용이고 그 다음은 Visibility성과 분석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통제(Continuous Closed Loop Control)를 통해 의사결정시 지원/활용하고, 공급망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

지난 3회에 걸친 연재를 통해 SCM의 기본 개념과 최신 경향 및 IT 기반의 솔루션들을 살펴보았다. 본 지면을 통해 독자들이 기업의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SCM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증진되는 계기가 되기를, SCM 전략이나 솔루션의 도입이나 전환을 고려 중인 독자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연재를 마친다.

작성: 양수영 컨설턴트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상단으로

TEL. 02-529-5537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430 젤존빌딩 302호
대표:김종욱 사업자등록번호:384-45-00160 개인정보관리책임자:김종욱

Copyright © g2gpartners.com. All rights reserved.컨설턴트등록